서론
2016년 9월 7일, 애플은 **아이폰 7(iPhone 7)과 아이폰 7 Plus(iPhone 7 Plus)**를 발표했습니다.
이전 모델인 아이폰 6s & 6s Plus와 디자인은 유사했지만, 대대적인 변화가 있었습니다.
특히,
- 3.5mm 이어폰 잭 제거
- 새로운 홈 버튼(물리 버튼 → 감압식 탭틱 엔진 적용)
- 듀얼 카메라(7 Plus 모델 최초 도입)
- IP67 등급 방수·방진 지원(아이폰 최초)
- A10 Fusion 칩(쿼드 코어) 탑재로 성능 향상
등의 혁신적인 변화를 통해, 아이폰 7 시리즈는 스마트폰 디자인과 기술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 모델이 되었습니다.
이 글에서는 아이폰 7 & 7 Plus의 주요 특징과 사양, 그리고 스마트폰 시장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.
1. 아이폰 7 & 7 Plus의 주요 특징
1) 3.5mm 이어폰 잭 제거 (무선 시대의 시작)
- 아이폰 7 시리즈부터 이어폰 잭이 사라짐
- 대신 라이트닝 포트를 통한 유선 이어폰 연결 & 블루투스 이어폰(에어팟) 사용 권장
- "용기(Courage)"라는 애플의 발표와 함께 무선 오디오 기술로의 전환 시작
2) 감압식 홈 버튼 (탭틱 엔진 적용)
- 기존의 물리 홈 버튼 → 감압식(3D 터치 기반) 버튼으로 변경
- 탭틱 엔진(Taptic Engine) 적용 → 물리 버튼처럼 느껴지지만 실제로 눌리지 않는 방식
3) IP67 등급 방수·방진 지원 (아이폰 최초)
- 최대 1m 깊이에서 30분간 방수 가능
- 아이폰 최초의 공식 방수 지원 모델
4) A10 Fusion 칩 & 최초의 쿼드 코어 프로세서
- A10 Fusion 칩(2.34GHz, 쿼드 코어, 64비트) 탑재
- 아이폰 최초로 4코어 CPU 적용 → 성능 40% 향상 & 전력 효율 개선
5) 듀얼 카메라(아이폰 7 Plus 모델)
- 아이폰 7 Plus: 1200만 화소 듀얼 카메라(광각 + 망원) 최초 탑재
- 2배 광학 줌 & 10배 디지털 줌 가능
- 인물 사진 모드(배경 흐림 효과, 보케) 최초 지원
6) 디스플레이 & 색상 개선
- 디스플레이 밝기 25% 증가 & 색재현력 향상
- 새로운 블랙 색상(매트 블랙 & 제트 블랙) 추가
7) 스테레오 스피커 (아이폰 최초)
- 아이폰 최초로 스테레오 스피커 적용 → 더 풍부한 사운드 제공
8) 배터리 성능 개선
- 아이폰 7: 1960mAh (아이폰 6s보다 약 2시간 증가)
- 아이폰 7 Plus: 2900mAh (아이폰 6s Plus보다 1시간 증가)
2. 아이폰 7 & 7 Plus의 사양 비교
항목 아이폰 7 아이폰 7 Plus
디스플레이 | 4.7인치 (1334×750, 326ppi) | 5.5인치 (1920×1080, 401ppi) |
프로세서 | 애플 A10 Fusion (2.34GHz, 쿼드 코어) | |
RAM | 2GB | 3GB |
운영체제 | iOS 10 (iOS 15.7.9까지 지원) | |
저장 용량 | 32GB, 128GB, 256GB | |
후면 카메라 | 1200만 화소, f/1.8, OIS 지원 | 1200만 화소 (듀얼 카메라, 광각+망원) |
전면 카메라 | 700만 화소, f/2.2, Retina Flash, 1080p 영상 촬영 | |
방수·방진 | IP67 (최대 1m 수심, 30분 방수 가능) | |
배터리 | 1960mAh | 2900mAh |
네트워크 | LTE, Wi-Fi 802.11ac | |
생체 인식 | Touch ID (2세대) | |
연결 | 라이트닝 포트 (이어폰 잭 없음) | |
무게 | 138g | 188g |
3. 아이폰 7 & 7 Plus의 영향력
아이폰 7 시리즈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낸 모델이었습니다.
1) 3.5mm 이어폰 잭 제거 → 무선 오디오 시대 개막
- 아이폰 7 출시 후, 블루투스 이어폰 & 무선 오디오 시장이 급성장
- 애플의 에어팟(AirPods) 시리즈가 큰 인기를 끌면서 완전 무선 이어폰(TWS) 시장 개척
- 이후 삼성, 구글, 소니 등 대부분의 스마트폰 제조사가 이어폰 잭을 제거
2) 듀얼 카메라 & 인물 모드 대중화
- 아이폰 7 Plus의 **듀얼 카메라 & 인물 사진 모드(보케 효과)**가 큰 성공
- 이후 아이폰 8 Plus, 아이폰 X, 아이폰 11 등 모든 플래그십 모델에서 듀얼/트리플 카메라 기본 탑재
3) 방수·방진 기능의 표준화
- 아이폰 7 이후 모든 아이폰에서 방수·방진 기능 기본 제공
- 안드로이드 제조사들도 IP67/IP68 방수 기능을 기본 적용
4) 감압식 홈 버튼 도입 → 이후 Face ID로 대체
- 아이폰 7에서 감압식 홈 버튼이 도입되었지만,
- 이후 아이폰 X에서 홈 버튼이 완전히 사라지고 Face ID(페이스 인식)로 전환
5) "제트 블랙" 컬러의 인기와 단점
- 제트 블랙 색상이 출시 당시 큰 인기를 끌었지만, 흠집이 쉽게 생기는 문제 발생
- 이후 아이폰 X 이후 유광 마감보다는 무광 & 무광유리 디자인이 더 선호됨
4. 결론
아이폰 7 & 7 Plus는
- 이어폰 잭 제거 → 무선 오디오 시대 개막
- 홈 버튼 변화 → Face ID 시대로 전환
- 듀얼 카메라 & 인물 사진 모드 도입 → 스마트폰 카메라 혁신
- 방수·방진 기능 추가 → 이후 모든 아이폰에서 기본 적용
등을 통해, 스마트폰의 변화를 주도한 모델이었습니다.
비록 이어폰 잭 제거 논란이 있었지만,
결국 무선 오디오 & 블루투스 이어폰 시장의 성장을 이끈 모델로 평가받습니다.
📌 관련 글 추천
이 글이 유익하셨다면, 공유와 댓글 부탁드립니다! 😊